牧會者 충전

3872. “한국은 나의 집” 옷 꿰매 입는 벽안의 선교사

행복을 나눕니다 2022. 3. 3. 00:00

 

 

한국은 나의 집옷 꿰매 입는 벽안의 선교사

패딩 점퍼 꿰매 입는 87세 웨슬리 웬트워스, 57년간 한국생활

 

“한국 교육발전·인재양성” 공로로 특별 귀화

“아직도 사람 연결해주고, 젊은이들과 만나는 것 즐거워”

 

웨슬리 웬트워스(왼쪽) 선교사가 24일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대강당에서 열린 ‘특별공로자 국적 수여식’에서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천=신석현 인턴기자

 

“나는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국민의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을 엄숙히 선서합니다.”

 

구순을 앞둔 벽안의 외국인이 박범계 법무장관 앞에서 국민 선서 낭독을 마치자 방척석에서 갈채가 쏟아졌습니다. 미국인 웨슬리 웬트워스(87·한국명 원이삼) 선교사가 한국인이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한국 땅을 밟은 지 57년 만입니다.

 

24일 과천정부청사 법무부 대강당에서 마련된 ‘특별공로자 국적증서 수여식’은 대한민국을 위해 봉사하고 헌신한 외국인 유공자들에게 한국 국적을 부여하는 자리였습니다. 웬트워스는 자비량 문서선교사로 활동하면서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 학문을 전파했습니다(본보 2월 3일자 29면 보도). 이를 통해 한국의 교육 발전과 인재 양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은 겁니다.

 

2012년 특별공로자 국적 수여 제도가 생긴 이래 10번째 특별 귀화자입니다. 1호 특별공로자인 인요한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 이후 두 번째 기독교인이기도 합니다. 파란색 저고리와 회색 바지로 어우러진 한복을 차려 입은 웬트워스는 소감을 발표하면서 “한국은 나의 집입니다. 한국을 사랑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얼마 전 인터뷰에서는 특별 귀화를 두고 “하나님의 은혜”라고 고백했습니다.

 

이날 행사장에는 웬트워스의 오랜 친구들이 하객으로 참석했습니다. 홍병룡 아바서원 대표와 신국원 총신대 명예교수, 김종현 ES그룹 회장 등은 행사 내내 흐뭇한 표정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가장 눈길을 끈 이는 월드비전 회장을 지낸 박종삼(86) 한국글로벌사회봉사연구소 소장이었습니다. 의사 출신인 그와 웬트워스의 만남은 19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가 광주기독병원 치과 레지던트 시절, 당시 병원 건축 업무를 맡고 있던 웬트워스와 처음 만났습니다. 둘 다 평생 독신으로 살면서 더 각별한 우정을 나누고 있었습니다.

 

행사 전후로 웬트워스의 드라마 같은 ‘특별귀화 작전’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웬트워스와 40년 지기인 김종현 회장은 해가 지날수록 웬트워스의 비자연장 업무가 어려워지는 상황에 애가 탔습니다.

그러던 중 지난해 말 ‘아프가니스탄 특별 기여자들, 한국 정착’이라는 뉴스를 접하면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한국에 처음 온 아프가니스탄인들도 여기에 눌러 살 수 있는데, 평생 여기서 헌신한 웬트워스는 왜 안 될까.’

 

이후 김 회장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와 법무부에 편지를 보내고 문의하면서 방법을 찾아 나갔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웬트워스의 특별 귀화를 위한 탄원서를 지인들에게 돌렸는데, 단 열흘 만에 1000명 넘게 동참했습니다. 김 회장은 “웬트워스가 한국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는 에피소드”라고 귀띔했습니다.

 

웬트워스에겐 집도 차도 그렇다할 재산도 없습니다. 몇 주 전 만난 그는 십 수년째 입고 있는 체크 남방 위에 실로 꿰맨 노란색 패딩 점퍼를 입고 있었습니다. 평생 청빈한 삶을 이어온 그를 향해 ‘천국을 향해가는 나그네’라는 수식어는 어색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그가 같은 한국인이라는 게 자랑스럽습니다.

 

▲다음은 최근 진행한 웬트워스 선교사와의 인터뷰 내용 요약

 

-코로나 펜데믹이 길어지고 있다. 일상이 궁금하다.

 

“기독 학자들간의 네트워킹, 학자와 문헌 등 기독교 교육 관련 자료를 연결하는 일을 계속 하고 있다. 컴퓨터 앞에 앉아 이메일을 보내고 받는 일이 많다.

 

-당신을 통한 한국의 기독교학문·기독교세계관 운동이 많은 열매를 맺었다는 평가가 있는데.

 

“내가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해 말하기 조심스럽다. 나는 그저 연결을 해줬을 뿐이다.” 이에 대해 홍병룡 아바서원 대표는 “1970년대만 해도 국내에선 기독교적 학문이나 기독교적 세계관에 논의가 전무하다시피 했다.

당시 웬트워스 선교사가 적극적으로 사람을 만나고 책을 소개하면서 기독교학문 운동의 불씨를 지폈다. 지금 기독교학문 운동을 접한 한국의 크리스천 교수나 대학원생들 중에 웬트워스를 모르는 이들은 없을 것이다.”

 

-무신론과 반기독교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기독교 세계관의 관심도 높아지는데.

 

“기독교 세계관의 기본 구조는 창조, 타락, 구속, 새창조(성화)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복음주의권에서는 타락과 구속만 강조할 때가 많다. 하지만 단지 좋은 신자가 되는 것 이상으로 성화된 삶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내가 교육자나 직장인이라면, 자신의 전공·전문 문야에도 기독교 신앙이 녹아 들어가야 한다.”

 

-당신의 검소한 생활이 회자된다. 어떻게 그런 생활 방식을 갖게 됐나.

 

“나는 뉴잉글랜드 출신인데, 어릴 때부터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고 늘 배웠다. 돈을 쓰려면 항상 스스로 벌어 써야 했다. 대학 다닐 때 학비도 마찬가지였다.”

 

-60년 가까운 한국 생활을 돌이켜 볼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학생들과 학자들, 사람들과의 만남이다. 그들과 함께 하면서 보람을 느낀다.” 이에 대해서도 홍 대표는 “웬트워스는 아직도 젊은 사람들을 만나는 걸 좋아한다. 또 학문 분야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등 늘 새로운 것을 늘 배우려고 한다.”

 

-한국 교회와 한국의 기독교인들에 대한 인상은.

 

“한국 교회는 굉장히 열정적이다. 미국 교회는 자유주의적인 경향이 여전히 강한 탓인지 그렇지 못하다.” 웬트워스 선교사는 한국에 도착했을 때 서울 영락교회(당시 담임 한경직 목사)에 출석했다. 최근에는 유학생이 많은 서울대학교회에 출석하며, 영어성경공부반을 인도하곤 한다.

 

-당신에게 예수 그리스도는 어떤 분인가.

 

“창조주 하나님이며 구주이시다. 내 죄를 사해 주신 분이다.”

 

-이 땅을 떠날 때 묘비에 남길 문구가 있다면.

“주 예수 그리스도, 살아도 죽어도 내 소망(Jesus Christ the Lord my hope in life and death)”

 

국민일보 과천=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입력 : 2022-02-24 16:58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6807186&code=61171811&sid1=lif

.........

 

 

* (요한계시록 2:10) 너는 장차 받을 고난을 두려워하지 말라 볼지어다 마귀가 장차 너희 가운데에서 몇 사람을 옥에 던져 시험을 받게 하리니 너희가 십 일 동안 환난을 받으리라 네가 죽도록 충성하라 그리하면 내가 생명의 면류관을 네게 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