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이야기

2026. 신앙인이라 산신제 초헌관 거부한 도지사

행복을 나눕니다 2015. 3. 20. 07:11

 

 

 

신앙인이라 산신제 초헌관 거부한 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직책에 주어진 당연직 초헌관 거부한 원희룡 도지사

초헌관이란? ‘나라의 제사 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일을 맡은 임시 벼슬

 

최근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도지사인 원희룡 지사가 한라산신제에서 초헌관(初獻官) 역할을 하지 않아 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교회언론회(대표 유만석 목사)12공직자에게도 종교의 자유는 존중되어야 한다는 논평을 통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한라산신제는 오래 전부터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비는 것으로 시행된 제례였으나, 일제시대부터 오랫동안 중지된 상태였다. 그러다가 2009년부터 주민들에 의해 복원됐고, 2012년부터 제주도가 주관하는 것으로 격상됐다고 한다. 이에 제주도지사가 초헌관을 집전해야 한다는 것인데, 원 지사는 기독교 신자이기에 이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일부 언론들은 지사 의무 방기’ ‘개인 종교와 공인의 의무 충돌로 몰아붙이고 있다.

 

그러나 교회언론회는 원 지사의 선택에 대해 종교의 자유 측면에서 당연한 일이라고 지지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과학과 문명이 발달하지 못하고 고등종교를 갖지 못하여 미신을 숭상하던 시절의 제례를, 현대에 복원하여 지켜야 한다는 주장부터 억지라며 국가의 태평과 국민의 안전을 위한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이를 제사를 통해야 한다는 것은 미신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언론회는 또 초헌관이란 나라의 제사 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일을 맡은 임시 벼슬을 말하는 것으로, 굳이 도지사가 맡아야 한다는 것도 맞지 않는 일이라며 무엇보다 기독교 신자인 원희룡 지사를 압박하여 개인 종교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을 무시하는 것이다. 만약에 원 지사가 국태민안을 위해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시간을 가졌다면 어찌 나올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언론회는 국태민안을 위해 기원하는 방법은 각 종교의 양식과 개인의 신앙양심에 따라 다양하다. 그런데 산신제에 참예하여 초헌을 해야만 공인의 의무를 다한 것이라고 본다면, 이것이야말로 편견일 뿐이라며

 

그러므로 원칙도 아니며 확실한 보장성의 행사도 아닌 일로 인하여 불필요한 분란을 조장하고, 개인의 신앙까지 공격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상호 간에 종교적 신념과 자유가 존중받는 성숙한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희룡 의원. 크리스천투데이 DB

 

* (33:18-19) 여호와는 그를 경외하는 자 곧 그의 인자하심을 바라는 자를 살피사

그들의 영혼을 사망에서 건지시며 그들이 굶주릴 때에 그들을 살리시는도다

 

   #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며 그 분의 도우심을 바라는 사람은 죽음의 자리에 이르러도 그 영혼은 보호받을 것이며, 땅에서 굶주리는 일도 면케 합니다. 하나님은 자기를 경외하다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특별한 기억하시고 때를 따라 필요를 채워 주셔서 그가 영으로 만족케 하십니다.-이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