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짐 들어줄게요”…
옛날에는 대부분 그랬는데.... [내가 바뀌면 세상이 바뀝니다
[1월의 주제는 ‘배려’]<12>대학생 독자가 보낸 사연
딸칵. 편지가 한 통 도착했습니다. 대구에 사는 대학생 조민솔 씨(23·여)가 보낸 사연입니다. “‘내가 바뀌면 세상이 바뀝니다’ 코너 잘 읽고 있습니다”로 시작하는 민솔 씨의 사연, 지금 소개합니다.
“제가 겪었던 배려는 무엇이 있나 생각하다, 한 사례가 떠올라 글을 보내 봅니다. 학교에 가려면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가끔 전공서적 등 짐이 많을 때가 있습니다. 짐을 놓는 공간이 있는 지하철에 비해 버스는 애매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앉을 자리도 없는 버스 안에서 날씨가 궂어 우산도 든 날이면 이만큼 불편한 게 없습니다.
그날도 비가 오고 있었죠. 제 양손엔 우산과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며 전공서적이 가득 들려 있었습니다. 버스에 오르니 우산에서 떨어진 빗물에 바닥은 이미 축축하더군요. 그날은 유독 버스에 승객도 많고….
책이 든 종이가방을 바닥에 내려놓으면 가방이 젖어 찢어질 것 같았습니다. 어쩔 수 없이 손목에 가방 손잡이를 끼고 버스 좌석 손잡이를 잡고 서서 가기로 했습니다. 불편해도 딱히 방법이 없었죠.
그때 제 앞에 앉아계시던 한 아주머니께서 웃으며 ‘학생, 내가 들어줄게요’라며 제 짐을 받아 주셨어요. 버스 안에 짐을 들고 서 있는 사람들은 많았지만, 앉아있는 사람 중 짐을 받아주겠다는 사람은 그분뿐이셨습니다. 처음 본 아주머니에게 도움을 받아 얼떨떨하긴 했지만 덕분에 편하게 집으로 올 수 있었습니다. 내리기 전에 감사하단 인사도 드렸고요.
버스에서 짐을 든 사람을 도와주는 것. 사소한 행동이라 볼 수 있지만 도움을 받고 보니 마음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느낌이었습니다. 이후 짐을 든 사람을 보면 저도 받아 들게 되더군요. 제가 받은 도움이 있으니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야 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어서요. 생각해 보니 이웃에게 인사를 건네거나, 뒤에 오는 사람을 위해 문 잡아주기, 집안일 돕기 등 쉬운 일들은 여러 가지가 있더라고요. 이런 행동들도 나부터 시작하는 ‘배려’가 아닐까요.”
민솔 씨는 첫 편지를 보낸 이후 두 번째 편지에서 “요즘 언론 매체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아동 폭력, 갑질 논란 등 배려가 결핍된 내용이 많다”면서도 “지적만 있고 배려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아쉬워했습니다. 뉴스만 보면 한숨이 나오는 건 누구나 마찬가지인 듯합니다.
동시에 “‘내가 바뀌면…’ 코너가 사회적 문제를 환기시키고 동시에 개인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했다”는 격려는 힘이 됐습니다. 저희는 이제 또 다른 민솔 씨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내가 받은 기쁨이나 다른 이들을 위해 했든 뿌듯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당신이 바뀌면 세상이 바뀝니다. 동아일보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입력 2015-01-21 03:00:00 수정 2015-01-21 04:36:38
* (119:86) 주의 모든 계명은 신실 합니다. 저희가 무고히 나를 핍박하오니 나를 도우소서
# 살다보면 누구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할 일이 생깁니다. 그렇지만 쉽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손을 내밀기는 부담스럽고 자존심 상할 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향하여 [나를 도와주소서]라고 진심으로 요청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요구나 부탁을 들으시며 필요한 때 적절한 도움과 위로와 지혜와 격려 용기와 힘을 주십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5. 시력 잃은 아픔, 제자 향한 열정 (0) | 2015.02.02 |
---|---|
504. 복지관에 신형 휠체어 기증한 工大生 (0) | 2015.01.29 |
502. 한글 1.0 갖고 계신 분~” (0) | 2015.01.27 |
501. 딸들과 함께 고전을 전합니다. (0) | 2015.01.22 |
500. 간 기증. 후유증. 알바. 서울대 합격 (0) | 201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