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운동 중심에 섰던 목사
전덕기 목사, 그를 기린다. 내년3월 서거 100주년 맞아
서울 상동교회를 ‘민족운동의 요람’으로 만들었던 전덕기 목사. 기독교 신앙과 구국운동을 하나로 묶어 한말 민족운동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905년 11월 일제가 일진회를 앞세워 '보호조약' 체결 공작을 벌이자 서울시내에서 대대적인 반대 운동이 열렸다. 구국기도회와 '도끼 상소'(상소를 들어주지 않으려면 도끼로 자신의 목을 치라는 뜻), 가두시위로 이어지는 을사조약 반대 운동을 주도한 사람은 상동청년회 회장이었던 전덕기 목사였다.
우리나라의 두 번째 감리교회인 서울 상동교회(1888년 설립)를 기반으로 한말(韓末) 민족운동을 이끌었던 전덕기(全德基·1875~ 1914) 목사의 기념사업이 시작됐다. 4일 서울 중구 남창동 상동교회(담임목사 서철)에서 발족한 '전덕기 목사 서거 100주년 추모사업회'는 일제의 조선 침략이 본격화하던 시기에 기독교 신앙과 민족운동을 일치시켰던 전덕기 목사를 기리는 사업을 펼친다. 추모사업회는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전용재 감독, 장동일 협성대 총장, 장명수 이화학당 이사장, 윤형섭 전 교육부 장관, 이종찬 전 국정원장 등 각계 인사 150여 명으로 구성됐다.
남대문 시장의 숯장수 아들이었던 전덕기는 미국 감리교 의료선교사 스크랜턴의 감화를 받아 1896년 그가 세운 상동교회의 교인이 됐다. 독립협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한편 스크랜턴을 돕던 그는 1902년 전도사가 되면서 상동교회 운영을 맡았으며, 1905년 목사 안수를 받았고 1907년에 담임목사가 됐다.
전덕기 목사 시대의 상동교회는 '민족운동의 요람'이었다. 상동청년회와 상동청년학원은 민족운동가를 길러냈고, 헤이그 밀사 파견과 민족운동 비밀결사인 신민회 결성이 상동교회에서 이루어졌다. 그와 함께 상동교회에서 활동하던 이준·주시경·이회영·이동녕·김구·이승만 등은 '상동파(尙洞派)'로 불리며 민족운동의 중심 역할을 했다.
전덕기 목사는 1912년 신민회 조직이 드러난 '105인 사건'에 연루돼 일제의 모진 고문을 받고 그 후유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가 상동교회에 뿌린 민족운동의 씨앗은 깊이 뿌리를 내렸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상동교회 출신이 4명(최석모·오화영·이필주·신석구)이나 된다.
전덕기 목사 추모사업은 그가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내년3월에 집중된다. 3월 13일 '왜 전덕기인가'라는 주제로 그의 생애와 신앙, 민족운동과 교회 활동을 다루는 학술대회가 개최되고, 관련 전시회와 추모행사도 마련된다. 추모사업회는 내년 3월 이후에 재단법인으로 전환해서 기념사업을 계속할 예정이다.
조선일보 이선민 선임기자 입력 : 2013.12.09 03:03
* (요11:50)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어서 온 민족이 망하지 않게 되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한 줄을 생각지 아니하는도다..
# 대한민국 독립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사람이 많습니다. 오늘 우리나라는 그분들의 희생위에 서 있습니다. 희생하신 분 중에는 하나님께 기도하며 값지게 생을 마친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 시대 사람들은 그분들의 희생을 잊고 지내는 것이 너무 마음 아픕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나라에 유익을 끼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대한민국은 하나님께서 세우셨고 지키시고 보호하는 나라입니다. 국민 된 의무를 잘 감당하며 나라를 안전하게 보전하고 발전시키는 삶은 애국입니다.-이박준
'특별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3. “야구 3연패는, 아내의 기도 덕분” (0) | 2013.12.27 |
---|---|
412. 한국인 선교사가 일본 노숙자 돌봐 (0) | 2013.12.22 |
410. 가난한 세입자 보호에 나선 교회들 (0) | 2013.12.10 |
409. 사랑의교회 새 성전 (0) | 2013.11.29 |
408. “목회자 아버지, 원망도 했지만…” (0) | 201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