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신학교, 출신 군대
구트만 駐韓 이스라엘 대사 "만나면 출신 학교 묻는 한국…이스라엘은 출신 군대 물어"
19일 만난 우리 구트만 주한 이스라엘 대사는“한국과 이스라엘은 역사적으로 열강에 둘러싸인 환경에서도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유사성이 있다”면서“앞으로 양국이 서로의 장점을 배운다면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고 했다.
우리 구트만(54) 주한(駐韓) 이스라엘 대사가 19일 "한국 젊은이들에게 이스라엘 창조경제의 현장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에 부임한 지 100일이 갓넘은 구트만 대사를 서울 서린동 대사관에서 만났다.
이스라엘은 인구 750만 명의 작은 나라지만, 전 세계 벤처 투자의 31%가 몰리고 세계 100대 첨단기업의 75%가 연구소나 생산기지를 두고 있어 '창조 경제의 국가'로 불린다. 박근혜 정부가 추진하는 창조경제 정책의모델 국가로 거론된다.
한국과 이스라엘은 지난 13일 '워킹 홀리데이' 프로그램 협정에 서명했다. 구트만 대사는 "매년 양국 인재 200여명이 상대 국가를 방문해 공동 연구·조사를 진행하고, 창업이나 대기업 취업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이스라엘의 장점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산학(産學)협동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트만 대사는 "이스라엘은 기술력이 뛰어난 반면, 한국은 제조업·마케팅 분야가 강하다"며 "이스라엘의 벤처기업과 글로벌 시장의 네트워크를 가진 한국 기업이 공동으로 상품을 만들어 유럽·아시아에 진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트만 대사는 지난 1970년대에 에후드 바라크 전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 현 총리와 함께 군 생활을 같이 한 전우(戰友)다. 그는 "한국인들은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은데, 이스라엘은 어느 부대에 있었는지를 제일 먼저 물어본다"면서 "이스라엘에서 군(軍)은 국가의 인큐베이터"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노석조 기자 /김지호 객원기자 입력 : 2013.11.20 03:02
* (딤후3:14) 그러나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라 네가 뉘게서 배운 것을 알며 (딤후3:15) 또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민1:45) 이같이 이스라엘 자손이 그 조상의 가문을 따라 이십 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 만한 이스라엘 자손이 다 계수되었으니 (민1:46) 계수된 자의 총계는 육십만 삼천오백오십 명이었더라
# 군대에 나가는 일이나 공부하는 일은 젊을 때 반드시 해야 하는 일입니다. 좀 힘들어도 배울 때 배워 두지 않으면 평생 후회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나라를 위하여 젊음을 바칠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건강한 남자라는 증거요 국민으로서 영광입니다. 아무리 잘나가는 사람이라도 나라가 없으면 발붙일 곳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배우는 일과 나라를 지키고 바로 세우는 일에 젊음을 투자하는 멋쟁이가 된 것을 기뻐해야합니다. 이는 다 하나님이 권장하는 일이므로 [하나님 말씀에 순종한다] 생각하면 더 신날 것입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3. “한국이 너무 자랑스러워…” (0) | 2013.12.08 |
---|---|
452. 학교 못 가본 장애 섬소년이 큰일 냈다 (0) | 2013.12.05 |
450. 캄보디아에 판 우물 2000곳 (0) | 2013.12.03 |
449. 반갑다! 여성 기계공학도들의 도전 (0) | 2013.11.28 |
448. 아이 낳는 소원, 7전 8기 끝에 성공 (0) | 201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