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를 피하려면
‘수면위생’부터 점검을…
잠자리에서 TV-스마트폰 금물 “수면제 피하고 습관부터 고쳐야”
‘수면장애’를 겪는 한국인이 10년 새 2.6배로 급증했다는 본보 보도(3월 16일자 A15면)에 “잘 자는 비결을 알려 달라”는 독자의 문의가 많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수면제’는 답이 아니다. 수면클리닉 전문가들은 “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듯 수면장애를 앓지 않으려면 평소 수면 습관을 뜻하는 ‘수면위생(Sleep hygiene)’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모 씨(57)는 3년 전부터 불면증으로 고생했다. 처음에는 수면제를 먹으면 잠이 왔지만 점점 효과가 없었다. 최 씨는 평소 오후 10시 반경 수면제를 먹고 방에서 TV를 틀어 놓은 채 잠을 청한다. 잠이 쉽게 오지 않아 어느덧 새벽 1시가 된다. 침대에서 일어나 마루로 나와 소파에 앉아 있다 보면 슬슬 졸음이 온다. ‘이제 좀 자겠구나’ 싶어 방으로 들어가면 다시 눈이 말똥말똥해진다. 이때부터 초조해지면서 자꾸 시계를 보게 된다.
전형적인 수면위생 불량이다. 불면증 환자들은 자신의 부족한 잠을 보충하려고 시간이 나면 눕는다. 저녁에도 일찍 잠자리에 든다. 하지만 실제로 잠을 자는 시간은 적어 오히려 불면증이 악화된다. 서울아산병원 정석훈 수면장애클리닉 교수는 “누워 있는 시간 중 실제로 잠을 잔 시간을 늘려야 한다”며 “오직 졸릴 때만 잠자리에 누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금 덜 자면 다음에 더 잘 잘 수 있다’는 식의 긍정적 사고도 중요하다. 잠자리에서는 TV 시청이나 독서를 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은 금물이다. 밤에는 뇌에서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이 분비된다. 하지만 스마트폰 화면의 밝은 빛을 일시적으로 쏘이면 멜라토닌 분비가 저하된다.
잠자리에 누운 뒤 15∼20분 이내에 잠이 들지 않으면 일어나 독서나 TV 시청 등 다른 활동을 하다가 잠이 오면 다시 잠을 청하는 게 좋다. 잠들기 3시간 전부터는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낮잠은 밤의 숙면을 방해한다.
동앙일보 김윤종 기자 입력 2018-03-19 03:00수정 2018-03-19 09:41
http://news.donga.com/Main/3/all/20180319/89160625/1#csidxf762cc6d8e533fea57acce291d8fdf7
...........
* (잠 6:9 게으른 자여 네가 어느 때까지 눕겠느냐 네가 어느 때에 잠이 깨어 일어나겠느냐 10 좀 더 자자, 좀 더 졸자, 손을 모으고 좀 더 눕자 하면 11 네 빈궁이 강도 같이 오며 네 곤핍이 군사 같이 이르리라.
# 평안한 잠을 자게 하십니다.
미인은 잠을 많이 잔다는 웃기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잠도 잠 나름입니다. 못된 마음이나, 할 일 없이 놀며 군것질이나 하면서 잠을 많이 잔다면 못난이가 되기 딱 맞습니다. 아름다운 마음으로 열심히 일하고 피곤한 몸으로 잠들면 꿀잠을 자게 되는데, 이런 잠을 자는 사람은 건강한 미인이 될 확률이 높습니 다. ♥ 할 일이 없어도 낮잠은 자지 말아야 합니다. 일이 없으면 만들어서라도 일해야 합니다. 일 할 때 일하고 잠잘 시간에 잠잘 수 있어야 정상입니다. 물론 어린 아기나 환자나 몸살이 났으면 잠자는 것이 약이지만, 그렇지 않은데 잠을 많이 자면 아주 비정상입니다. 보통 사람은 규칙적으로 6∼8시간 이내에 잠이 좋다고 합니다. 정상적인 잠을 잘 때는 몸을 이롭게 하지만, 그렇지 않은 시간에 자는 것은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게으른 사람은 잠잘 시간이 많아 좋을지 모르나 얻어지는 것은 가난과 게으름과 흐릿한 정신과 몸통뿐입니다.
♥ 그리스도인은 영적으로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합니다. 나태한 신앙은 영적으로 잠자는 시간이므로 기도하며 주님과 교통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에게 단잠을 주십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55. 한미 연합훈련 시작,,, 최신 무기도 등장 (0) | 2018.04.03 |
---|---|
2854. LG, 13兆 또 따냈다. ‘혼자 질주’ (0) | 2018.04.02 |
2847. "우리가 박태준 수입할까" (0) | 2018.03.21 |
2845. 돈, 작년에 손상돼 버린 화폐 3.8兆… (0) | 2018.03.19 |
2842. 졸다 깨보니 무릎에 지폐 5장이… (0) | 2018.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