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쇼트트랙 한국만 가진 기술 있다.
.한국 대표팀이 개발한 개구리장갑과 호리병주법.
.2018 평창 겨울올림픽 쇼트트랙 경기가 열리는 강원도 강릉 아이스아레나 믹스트존(취재공동구역)에서 가장 주목받는 선수는 한국 국가대표들이다. 한국 선수들이 훈련이나 경기를 마치고 나오면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중국·네덜란드 등의 기자들이 모여든다. 한국어를 알아듣지 못하는 외신 기자들은 인터뷰가 끝나면, 한국 기자들에게 선수들의 대답을 통역해 달라고 한다. 외신이 이토록 한국 쇼트트랙에 주목하는 이유는 하나다. 한국 쇼트트랙이 세계 최고이기 때문이다.
선구자 김기훈, 외다리주법 첫선
전이경·김동성, 날 밀기 전매특허
쇼트트랙이 1992년 알베르빌 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12일 현재까지 한국은 43개의 메달(금22·은12·동9)을 가져갔다. 역대 겨울올림픽에서 한국이 딴 금메달은 27개인데 쇼트트랙이 80%가 넘는 22개를 딴 셈이다.
한국이 처음부터 쇼트트랙을 잘했던 건 아니다. 쇼트트랙은 미국과 유럽에서 발달했다.
한국 쇼트트랙이 못 밟은 땅 … 최민정 여자 500m 정복 꿈
지난 9일 미국 뉴욕타임스 매거진은 평창올림픽 특집으로 ‘한국은 왜 쇼트트랙을 잘하나’라는 기사를 썼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80~90년대 올림픽에서 잘할 수 있는 스포츠를 찾았는데, 새롭게 나온 쇼트트랙 종목이 낙점됐다. 이후 집중적 지원을 받아 반복적인 군대식 훈련, 전략 연구 등으로 단시간에 메달을 싹쓸이했다.
쇼트트랙은 빠르게 코너를 돌며 순위 경쟁을 벌이기 때문에 유연성과 순발력이 필요하다. 서양 선수들보다 체구가 작은 아시아 선수들에게 유리한 종목이다.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출신 제갈성렬 SBS 해설위원은 “당시 ‘바로 나가면 금메달을 몇 개 딸 수 있다’고 쇼트트랙 전향 권유를 많이 받았다”고 했다.
한국 쇼트트랙의 ‘선구자’로 불리는 김기훈은 92년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1000m, 5000m 계주 우승으로 한국 겨울올림픽 44년 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기훈은 ‘호리병 주법’ ‘외다리 주법’ ‘개구리 장갑’ 등 다양한 기술을 탄생시켰다. 호리병 주법은 직선 주로에서 인코스로 달리다가 다시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상대를 앞서 나가는 기술이다. 외다리 주법은 코너에서 원심력을 극복하고 스피드를 이어가기 위해 한 발로 스케이트를 타는 것을 말한다. 손가락 끝부분에 에폭시 수지를 붙여 코너를 돌 때 마찰력을 줄여주는 개구리 장갑도 발명했다.
결승선 앞에서 ‘날 밀어 넣기’도 한국 선수들이 처음 시도했다. 98년 나가노 올림픽 여자 쇼트트랙 1000m 결승에서 전이경은 오른발을 내밀어 우승했다. 당시 남자 쇼트트랙 1000m 결승에서 김동성도 리자준(중국) 뒤에 있었지만 날을 먼저 넣어 이겼다.
빙판에서 하루 200바퀴 이상 도는 맹훈련으로 쌓은 강철 체력으로 ‘바깥돌기’도 뛰어나다. 바깥돌기는 경쟁이 치열한 인코스를 포기하고 순간 속도를 내서 아예 바깥쪽으로 크게 회전하는 것인데, 트랙을 한 바퀴 돌 때 5~10m의 거리를 더 달려야 한다.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남녀 3관왕을 이룬 안현수와 진선유가 탁월했다. 진선유는 “아웃코스로 돌려면 힘과 스케이팅이 모두 좋아야 한다”고 했다.
중앙일보 강릉=박소영 기자 psy0914@joongang.co.kr ..
입력 2018.02.13 01:24 수정 2018.02.13 06:48
:http://news.joins.com/article/22367636
.......
* (잠언 12:15) 미련한 자는 자기 행위를 바른 줄로 여기나, 지혜로운 자는 권고를 듣느니라.
# 지혜로운 결정은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입니다.
그러나 미련한 자는, 주변의 권고는 물론 하나님의 절대적인 권고도 듣지 않으려 합니다. 그러면서 자기 생각과 주장은 최고의 선이요 정의로 여깁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악한 시대의 현실입니다. 우리는 좀 더 지혜롭도록 성령하나님의 은혜를 받아야 합니다.
♥ 이는 교육으로 되지 않고, 기도로만 됩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31. 평창, 2018 폐막, 또 다른 이야기 (0) | 2018.02.27 |
---|---|
2824. 평생 우유 장사 할머니, 전 재산 10억원 기부 (0) | 2018.02.19 |
2818. 평창, 독일선수단이 '태극기' 대신 들고 입장 (0) | 2018.02.12 |
2816. 세브란스병원 화재 ‘기본’이 잘돼 참사 막았다 (0) | 2018.02.08 |
2814. 평창 선수촌에 없는 게 없다 (0) | 201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