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진이 만들어준 행복
⑴ 사지장애 고통 받던 라오스 소녀, 서울대 의대 등이 도와 수술·회복
⑵ 청력 잃어가던 네팔 청년들… 아산병원 초청, 무료 수술 받아
씨바이 차이홍헤앙 / 서울대 의대
⑴ "기적 만들어 준 한국에 감사 "
사지장애 고통받던 라오스 소녀, 서울대 의대 등 도와 수술·회복
지난 10월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어린이병원 수술실에서 라오스 소녀 씨바이 차이홍헤앙(13·사진 가운데)이 양팔과 양다리를 붕대로 감싼 채 나왔다. 수술대에 오르기 전 흉하게 뒤틀려 있던 팔다리는 곧게 펴져 있었다. 씨바이양의 아버지 쏫차이(38)씨와 언니 랏띠(16)양은 울먹이며 의료진에게 "씨바이를 고쳐주셔서 감사드린다"고 했다.
씨바이는 고향인 라오스에서 '저주받은 아이'로 불렸다. 음악가였던 아버지 쏫차이가 10년 전 갑작스러운 근육병으로 두 팔을 쓸 수 없게 됐고 씨바이도 5년 전 자전거 사고를 당한 뒤 팔다리가 뒤틀리는 희귀병을 앓았다. 생활고에 지친 어머니가 재혼해 가족을 떠나자 동네 사람들은 '귀신 들린 집'이라며 손가락질했다. 씨바이는 13세인데도 키 110㎝에 몸무게가 18㎏밖에 되지 않는다.
천형(天刑)으로 생각하고 제대로 된 치료 한 번 못 했던 가족은 2014년 현지 교회의 도움을 받아 라오스 국립 아동병원에 씨바이를 데리고 갔다. 당시 라오스에서 한국의 선진 의료 기술을 전파하는 '이종욱-서울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던 최용(72) 서울대 의대 명예교수는 "팔다리가 하도 심하게 비틀려 있는 데다 뼈가 깨진 부분도 있어 아동 학대를 당한 게 아닐까 생각했다"고 했다. 그는 수술을 해야 씨바이를 고칠 수 있다고 한국에 보고했고 프로젝트 운영위원장인 신희영(61) 서울대 의대 교수는 자비로 항공료와 생활비 등을 지원해 씨바이 가족을 한국에 데려오기로 했다. 소식을 들은 정목(56) 스님이 5000만원을 지원했고 조태준(54) 서울대 어린이병원장은 진료비를 받지 않고 직접 수술을 집도하겠다고 했다.
씨바이는 지난 10월 21일과 28일 두 차례에 걸쳐 수술을 받고 서울대 의대 기숙사에 머무르며 회복 중이다. 내년 1월 말 모든 팔다리 지지 기구를 제거하고 2월 초에는 가족과 함께 고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씨바이는 후원자들에게 감사하는 영상 편지에서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이 아니었다면 저는 이런 기적 같은 기회를 얻을 수 없었을 거예요. 정말 고맙습니다."
조선일보 문현웅 기자 입력 : 2016.12.15 03:04
...................
⑵ 한국의료진 덕에 '소리' 되찾았어요"
"잘 몰랐던 머나먼 땅 한국에서 '소리'를 선물 받았네요."
청력 잃어가던 네팔 청년들… 아산병원 초청, 무료 수술 받아
12일 서울아산병원 입원실. 네팔 청년 고쿨 타망(18)군은 한국 의료진 앞에서 공손히 합장하며 '나마스테' 하더니 만면에 웃음을 지었다. "이제는 다른 사람 입 모양 보려고 애쓰지 않아도 되겠어요. 수업 시간에 선생님 목소리도 잘 들리겠네요."
가난은 타망군에게서 소리를 차츰 앗아갔다. 두 살 때부터 만성 중이염(中耳炎)을 앓아 고막이 뚫리고 귀에서 고름이 흘렀다. 그러나 식구들은 타망군에게 약 사 먹일 형편도 못 됐다고 했다. 다섯 살 때부터 이미 청력이 떨어지기 시작해 친구들 목소리를 눈살 찌푸리고 입 모양으로 겨우 이해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교사 목소리가 안 들리니 학년 진급도 못 해 낙제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 의료진 초청으로 서울아산병원에서 중이염 수술을 받은 네팔인 고쿨 타망(오른쪽 끝)군과 상보 타망(오른쪽에서 둘째)씨가 가족과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한국 의료진 초청으로 서울아산병원에서 중이염 수술을 받은 네팔인 고쿨 타망(오른쪽 끝)군과 상보 타망(오른쪽에서 둘째)씨가 가족과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시련은 엎친 데 덮친 격이었다. 작년 4월 네팔 대지진이 나자 타망군이 사는 집이 무너져 내렸다. 목숨은 구했지만, 노숙을 하는 처지가 됐다. 지진 먼지로 잔뜩 뿌예진 공기는 타망군의 양쪽 귀에 치명적이었다. "학교에 가도 말귀를 못 알아들으니 외톨이가 됐어요."
그에게 지난 9월 의료 봉사에 나선 서울아산병원 의료진의 네팔 방문은 놓칠 수 없는 '희망'이었다고 했다. '한국이란 나라에서 의료진 30여명이 온다'는 소식은 이 마을 저 마을로 빠르게 퍼졌다. 타망군과 그의 어머니는 3시간을 걸어 임시 진료소를 찾았고, 2시간 넘게 줄을 선 끝에 한국 의사에게 진료를 받았다. 딱한 사연에 중이염도 심각하다고 판단한 의료진은 타망군을 한국으로 초청해 수술시켜 주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또 다른 네팔 중이염 환자 상보 타망(22)씨도 함께 한국 땅을 밟았다.
지난 6일 진행한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정종우 아산병원 교수(이비인후과)는 "타망군의 청력은 일반인의 70% 정도로 올라왔고 차츰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온정에 지진의 상흔까지 이겨낼 용기를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나마스테."
조선일보 김성모 기자 입력 : 2016.12.13 03:00
............
* (시102:17) 여호와께서 빈궁한 자의 기도를 돌아보시며 저희 기도를 멸시치 아니하셨도다.
# 빈궁하고 어려운 사람의 기도라고 멸시치 않으시도다.
사람을 비롯한 생명이 있는 동식물의 세계는 차별이 있고 끼리끼리도 영역 다툼도 있습니다. 그래서 힘없는 계층은 소외당하거나 아무리 소리쳐도 잘 먹혀들지 않는 것도 현실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가난하고 어렵고 힘없는 사람들이라고 차별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기도는 누구나 해야 합니다. 그렇다 해도 내가 원하는 대로 기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나님은 내 기도를 들으시지 않는 것 같다]는 말을 하는 것은 하나님을 욕되게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사람의 기도를 동일하게 들으시고 즉각 이루어 주실 때도 있지만 모든 것은 하나님 보시기에 가장 적합한 시기에 합당한 방법으로 이루십니다.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시기 전에 기도하시기를 [내 뜻대로 마옵시고 아버지 뜻대로] 이루어 주시기를 부탁했습니다. 기도는 내 생각을 아뢰고 도움을 간절히 구하되 하나님의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해야 합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49. 촛불, 태극기, 시국에 대한 언론의 바른 소리 (0) | 2017.02.10 |
---|---|
2545. 태극기와 촛불의 차이 (0) | 2017.02.06 |
2541. 트럼프, 黃권한대행과 약속 (0) | 2017.01.31 |
2532. "한국에 뿌리 내리려 빵 배워요" (0) | 2017.01.19 |
2530. 첫 여성 전투비행대장 3명 탄생 (0) | 2017.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