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일 저런글

2218. 한국여성, 엄마 되는 나이 너무 늦어

행복을 나눕니다 2015. 12. 10. 07:05

 

 

 

 

 

한국여성, 엄마 되는 나이 너무 늦어

31세 육박세계서 가장 늦다

 

'첫아이 출산' 10명 중 6명이 30세 이상저 출산 가속화

여성 학력·취업률 높아지며 결혼 미루고, 출산도 늦어져

자녀 부양에 노후계획 못 세워'늦둥이 사회의 악순환' 불러

주부 A(47)씨는 지난해 외동딸(7)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회사를 그만뒀다. "양육비를 바짝 벌어둘 생각에 결혼 후 5년간 출산을 미뤘는데 아이 뒷바라지 걱정에 숨이 막힌다""남편이 언제 경제활동을 그만둘지 모르는데 노후 계획은 엄두도 못 낸다"고 말했다.

 

한국이 전 세계에서 엄마가 되는 나이가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첫아이를 늦게 낳아 가족계획을 매듭짓고, '35세 이상 고령 출산'에 대한 불안감으로 출산을 기피하면서 저출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만혼과 고령 출산 뒤에도 자립할 나이에 못 미친 '캥거루 자녀' 부양 의무 때문에 노후 계획을 세우지 못하는 '늦둥이 사회의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지적이다.

 

엄마 되는 나이 4.7세 높아져

 

6일 유럽연합통계청연감(EURO STAT)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일본 통계청의 2013년 초산(初産) 연령 조사에 따르면 한국 여성이 30.7세로 가장 높고, 이탈리아(30.6), 일본·스페인·스위스(30.4), 룩셈부르크(30.0)가 뒤를 잇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럽연합 국가 중 초산 연령이 가장 낮은 불가리아(25.7)에 비해 다섯 살 더 늦게 첫아기를 낳는 것이다. 아시아권의 일본·홍콩·대만·싱가포르보다 첫아기 출산 연령이 높다.

 

한국은 지난해 통계청 초산 연령 조사에서도 30.97세로 31세에 육박했다. 1993(26.23)부터 21년 만에 4.74, 매년 0.22세씩 높아진 것이다. 2013년 전체 첫째 신생아 중 30세를 넘은 산모의 비율은 60.4%1993(11.8%)보다 5.1배가 늘었다.

 

초산 연령이 높아지는 속도는 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가파르다. 1995년과 2013년을 비교하면 한국은 18년간 4.2(26.530.7) 높아진 반면, 이탈리아는 같은 기간 2.5(28.130.6), 스페인은 2(28.430.4), 네덜란드는 1(28.429.4)에 그쳤다. 이는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한국은 결혼 후 아기를 낳는 게 보편적이다.

 

여성의 초혼 연령은 199325.0세에서 201329.6세로 4.6세나 높아졌다. 초혼 연령보다 초산 연령이 0.1세 더 늦춰진 것은 결혼 후 아기를 낳을 때까지 기간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고 수준 학력, 결혼·출산 늦춰

 

초혼·초산 연령이 높아진 것은 여성들의 학력과 취업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은 2000년대 들어 학력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서면서 여성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연령이 늦어졌다. 주 출산 연령대인 25~34세 남녀의 대학 교육(전문대 포함) 이수율의 경우, 한국은 2000년만 해도 37%로 일본·캐나다(48%), 핀란드(39%), 미국(38%)보다 낮았다.

그러나 2014년 한국이 68%로 일본(59%), 캐나다(57%), 미국(46%)을 뛰어넘었다.

 

이상림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여성들은 고학력일수록 취업도 잘돼 결혼을 않거나 미루고, 늦게 결혼해도 아기 낳기를 주저해 저출산을 가속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경제적 문제 외에 직장 내 경쟁·압박 때문에 아이를 가진 뒤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 힘들 거라는 심리적·사회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김동섭 보건복지전문기자 / 박영석 기자

입력 : 2015.12.07 03:00 .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의학적으로도 부모가 나이가 많아 자녀를 출산 할 경우, 2세의 건강이나 정서적인 면에서 상당한 지장이 있다는 정보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엄마의 나이가 젊을수록 아이에게 좋습니다.-관리자.

............

 

* (128:1-) 여호와를 경외하며 그의 길을 걷는 자마다 복이 있도다. 2 네가 네 손이 수고한 대로 먹을 것이라 네가 복되고 형통하리로다. 3 네 집 안방에 있는 네 아내는 결실한 포도나무 같으며 네 식탁에 둘러 앉은 자식들은 어린 감람나무 같으리로다. 4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는 이같이 복을 얻으리로다. 5 여호와께서 시온에서 네게 복을 주실 지어다. 너는 평생에 예루살렘의 번영을 보며 6 네 자식의 자식을 볼지어다 이스라엘에게 평강이 있을지로다.

 

  # 복 받는 그릇은 가정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만나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어 자녀를 낳는 것은 정상적이고 아름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이왕에 이룬 가정인데 복을 받고 자자손손이 잘 되어야 합니다.

복을 주시는 하나님께서 이렇게 하라고 하십니다. 하나님을 잘 경외(敬畏)하고 주시는 말씀에 잘 순종하는 삶을 살면 복된 가정이 된다고 하십니다. 남편은 하는 일이 헛수고 하지 않게 될 것이며, 아내는 가정을 잘 꾸리는 지혜로운 여인이 될 것이며, 자녀는 하나님 앞에서나 사회에서 요긴하게 쓰임 받는 자가 될 것이며, 당대 뿐 아니라 자손 대대로 복을 받는다고 하셨습니다.

 

하나님 잘 경외합시다. 너무 따지지 말고 늦지 않게 결혼하여 가정을 이룹시다. 한 나이라도 젊을 때 자녀 낳고, 복 받을 그릇을 만들어 놓읍시다.-이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