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때,화상 소녀 도운 미군 재회
60년 만에 재회 한 리차드 캐드월러더 미군과 화상 소녀 김연순씨
제 이름은 리차드 캐드월러더입니다.
저는 6.25전쟁 당시 미공군에서 복무했습니다.
1953년 어느 추운 겨울밤. 한 여성이 화상을 크게 입은 12살 난 딸을 치료해달라며 5마일이나 떨어진 막사 까지 찾아왔습니다.
소녀는 턱부터 허리까지 신체 전면에 심각한 3도 화상을 입은 상태였습니다.
군의관은 2시간 동안 소녀를 치료했고 저는 그 길고 고통스러운 시간을 신음 한 번 내지 않고 조용히 견뎌내는 소녀의 모습에 크게 감동했습니다.
모녀는 6주 동안 매주 수요일 오후 5시에 기지로 찾아와 치료를 받았습니다.
어느 날 MASH(육군이동외과병원) 소속 헬리콥터가 부대에 착륙했습니다.
저는 화상 입은 소녀를 도울 방법을 물어보았고 2시간 내로 데리고 오면 부산 군병원 화상병동에서 치료를 받게 해주겠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저와 동료들은 소녀의 집이 정확히 어디인지 알지 못했지만 마을 쪽으로 무작정 지프차를 몰았습니다. 시간이 촉박했지만 다행히도 모녀를 찾아 상황을 설명하고 부대로 데려와 헬리콥터에 태울 수 있었습니다.
이륙하는 헬리콥터를 보며 저는 소녀가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마음이 놓였습니다.
딸을 위해 무엇이든지 하고자 하는 어머니의 모습에 존경심을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다시는 이들을 볼 수 없다는 생각에 슬퍼졌습니다.
약 3개월 뒤 1954년 봄, 저는 기적처럼 소녀와 잠깐 동안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환한 미소를 띤 소녀는 놀라울 정도로 회복이 되어 있었고 치료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중인 것 같았습니다. 저는 그 소중한 몇 분간의 마주침을 결코 잊을 수 없습니다.
저는 이제 81세의 노병이 되었고. 평생을 그 어린 한국인 소녀가 보여준 놀라운 용기를 기억하며 살아왔습니다.
60년이 지난 지금,
그 소녀를 꼭 한 번 다시 만나고 싶네요.
- 출처 : 2013년 1월 29일 국가보훈처보도자료 - (사랑밭 새벽편지에서 따옴)
2013년 4월 1일, 캐드월러더는 60년 동안 그리워하던 '화상 소녀 김연순' 씨와 만나게 되었습니다. 추억의 장소인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에도 방문하였습니다
이날 김씨는 캐드월러더에게 한복을 선물하며 "치료를 받으며 리처드를 미국 아버지라 불렀다. 한동안 꿈에서도 봤지만 찾을 생각은 못했다" 며 눈물을 훔쳤습니다.
* (삼상17:47) 또 여호와의 구원하심이 칼과 창에 있지 아니함을 이 무리로 알게 하리라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 그가 너희를 우리 손에 붙이시리라
# 전쟁은 비극을 낳습니다. 쌍방의 피해가 큽니다. 어린이와 부녀자들의 고통은 더 엄청납니다. 전쟁은 가능한 하지 말아야 하지만 정의와 질서를 유지하고 나라를 지키기 위한 전쟁은 피할 수가 없습니다. 한국의 6.25 전쟁은 북한이 야욕을 품고 먼저 남침한 불의한 전쟁입니다. 전쟁광인 나라와 인물은 지구상에서 점점 몰락하고 있습니다. 전쟁의 승패는 하나님께서 결정하십니다. 6.25 한국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하여 세계 60여개 나라에서 군대, 무기, 식량, 구호품, 의료진, 자원봉사자 등을 파견하여 한국을 돕게 하셨고, 오늘과 같은 성장과 발전을 이루게 하셨습니다. 우리는 감사하면서 범죄하지 말아야 합니다. 전쟁을 도운 여러 나라에도 고마움을 표할 줄 알아야 합니다-이박준
'이런일 저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8. 美術 미자도 모르면서 英 왕립예술학교 입학 (0) | 2013.07.01 |
---|---|
407. 미국에는6·25 참전용사 碑 건립하는데... (0) | 2013.06.27 |
405. 왼쪽 팔 없어도 美 '미스 아이오와'로 선출 (0) | 2013.06.17 |
404. 예일大 수학과, 첫 종신 女교수 는 한국인 (0) | 2013.06.12 |
403. 사랑해, 사랑했소, 미안해, 미안하오, (0) | 201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