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6.영화보다 더 영화 같이 살다간 스타
영화보다 더 영화같이 살다간 스타
은막의 스타 최은희, 향년 92세에 별세, ㅡ 최은희 신상옥 부부 납북에서 탈북까지,
영화보다 영화 같은 삶을 살았던 ‘은막의 스타’ 영화배우 최은희(사진)씨가 16일 향년 9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고인의 장남인 신정균 감독은 “오늘 오후 병원에 신장투석을 받으러 가셨다가 임종하셨다”고 전했다.
고인은 이날 오후 5시 30분경 오랜 투병생활 끝에 서울 강서구 화곡동 자택 근처 병원에서 타계했다. 빈소는 서울 서초구 강남 성모장례식장에 차려졌다.
최씨는 2010년대 초반부터 신장 질환 등을 앓으며 투병해왔다. 특히 남편인 고 신상옥 감독이 2006년 4월 타계한 뒤 건강이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씨는 자택과 요양병원을 오가며 혈액 투석 등 치료를 받아왔다. 유족으로는 신정균(영화감독)·상균(미국거주)·명희·승리씨 등 2남 2녀가 있다.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1926년생으로, 1942년 연극 ‘청춘극장’으로 처음 무대에 올랐다. 이후 고인은 1947년 '새로운 맹서'로 스크린에 데뷔했다. '밤의 태양'(1948년), '마음의 고향'(1949년) 등에 출연해 스타로 떠올랐고, 김지미, 엄앵란과 함께 1950∼1960년대 원조 트로이카로 손꼽혔다.
고 최은희씨(왼쪽)와 배우 마릴린 먼로. 고인이 1954년 주한미군 위문 공연 차 방한한 할리우드 스타 먼로와 만나 환하게 웃고 있다.
최씨는 1953년 다큐멘터리 영화 '코리아'에 출연하면서 신상옥 감독과 만났고 1954년 결혼한 뒤 영화인 부부로서 한국 영화계를 이끌었다. 고인은 신 감독과 찍은 '꿈'(1955), '지옥화'(1958), '춘희'(1959), '로맨스 빠빠'(1960) , '백사부인'(1960),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로맨스 그레이'(1963) 등 1976년까지 130여편의 작품에 출연했다.
특히 ‘성춘향’(1961)이 크게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전성기를 맞았다. ‘성춘향’은 두 달 동안 서울에서만 36만1000여명이 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시 국내 상영 외화까지 합쳐 역대 최다 관객 동원 규모였다. 1968년 ‘미워도 다시한번’이 36만2000여명의 관객을 동원할 때 까지 7년간 이 기록은 깨지지 않았다.
고인은 배우이자, 국내 세 번째 여성 감독으로 활동했다.
'민며느리'(1965) '공주님의 짝사랑'(1967) '총각선생'(1972) 등을 연출했다. 감독이자 배우로 출연한 '민며느리'로는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씨는 1966년 안양영화예술학교를 설립해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가장 극적인 사건은 신 감독과 이혼 후인 1978년 벌어진 납북이었다. 최씨는 지난 1978년 1월 안양영화예술학교 교류사업차 방문한 홍콩에서 북한 공작원에 납치됐다. 이후 신 감독도 그 해 7월 납북돼 부부는 1983년 북한에서 재회하게 됐다.
두 사람은 북한에서 신필름 영화 촬영소 총장을 맡아 17편의 영화를 찍었다. 고인은 북한에서 만든 영화 ‘소금’으로 1985년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이는 한국인 최초 해외영화제 수상으로, 배우 강수연씨보다 2년 빨랐다. 신 감독과 최씨는 김정일의 신뢰를 얻은 뒤 1986년 3월 오스트리아 빈 방문 중에 미국 대사관에 진입해 망명에 성공했고, 이후 10년간 망명 생활을 이어갔다. 고인은 이곳에서 신 감독과 재혼했다.
최씨는 이후 1999년, 11년만에 남한 땅을 밟는다. 이후 2001년 극단 신협의 대표로 취임했다. 이듬해 신필름영화예술센터의 설립을 주도했다. 2007년에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영화 인생을 담은 자서전 `최은희의 고백`을 펴내기도 했다.
조선일보 박성우 기자 이민아 기자
입력 : 2018.04.16 20:27 | 수정 : 2018.04.16 22:5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6/2018041602344.html
최은희씨와 마르린먼로
최은희 납북에서 탈북까지, 홍콩 바닷가에서
1978년 1월 14일, 자신이 교장을 맡고 있던 안양예술학교의 후원자를 만나기 위해 홍콩을 방문한 최은희(당시 52세)씨는 ‘약속이 미뤄졌으니 바닷가에 놀러가자’는 지인을 따라나섰다. “바닷가에 도착했을 때 남자들이 나타나더니 무작정 배에 태우는 거예요.” 여배우 최은희씨는 그렇게 납치됐고, 홍콩 수사 당국은 “괴한들에게 북한으로 끌려갔다”고 했다.
최은희씨를 찾아나선 신상옥 감독도 6개월 뒤 납치됐다. 신 감독은 1월 27일 홍콩을 시작으로 6개월간 미국, 프랑스, 일본, 동남아 등을 돌아다니다 7월 홍콩에서 납북된다. 두 사람의 납북은 북한의 영화산업을 발전시키려는 야망이 있었던 김정일의 계획 때문이었다.
신상옥 감독의 납북 소식이 알려진 후 일부에서는 ‘자진월북설’이 퍼졌다. 신 감독이 박정희 정권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다가 미운털이 박혀 사업이 망해 북한을 택했다는 것. 신 감독은 1974년 예고편 검열을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자신이 운영하던 영화사 신필름이 허가 취소를 당해 납북 전 4년 동안 영화 연출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신상옥 월북설’은 훗날 김정일의 육성이 공개되며 가라앉게 된다.
다큐멘터리 ‘연인과 독재자(감독 로스 아담)’에 나온 북한 기록 사진. 김일성을 중심으로 신상옥, 최은희씨가 앉아있다.
납북된 두 사람이 북한 땅에서 재회한 것은 최은희 납북 5년 뒤인 1983년이었다.
최은희씨는 북한에 도착해 38살의 김정일(당시 노동당 선전선동비서)의 지원을 받아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에서 지냈지만, 신상옥은 대부분을 수용소에서 보내며 탈출도 3번 시도했다.
최씨는 “아무것도 모른 상태로 납북 5년 뒤에 파티에 참석했는데 거기서 신상옥 감독과 만났다”며 “이혼한 지 7년 만에 만났는데 서로 얼굴을 마주 보며 ‘어떻게 된 거야?’라고 말하며 웃었다"고 했다.
다시 재회한 두 사람은 김정일의 주선으로 다시 영화 작업을 시작한다. 두 사람은 북한에서 신필름 영화촬영소 총장을 맡고 '돌아오지 않는 밀사'(1984년), '사랑 사랑 내 사랑'(1984년) 등 총 17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최은희씨는 북한에서 만든 영화 '소금'으로 1985년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한국인 최초 해외영화제 수상이었다.
신임을 얻은 이들은 1986년 오스트리아 비엔나를 여행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아 8년 만에 북한에서의 탈출을 시도한다. 비엔나의 미국대사관으로 무작정 달려 들어가 CIA 요원들에게 도움을 요청해 탈북에 성공한다.
미국으로 망명한 두 사람은 3년간 워싱턴의 안가에서 생활하다 이후 로스앤젤레스로 이주, 할리우드 진출을 꿈꿨다. 신 감독은 저예산 아동 영화 ‘3 닌자’를 제작해 개봉해서 소소한 성취를 거두기도 했다.
할리우드에 안착하지 못한 두 사람은 1999년 한국으로 돌아왔고, 신 감독은 여전히 대형 프로젝트를 꿈꿨다. 칭기즈칸, 함흥철수작전 등을 영화로 제작하려다 실패하고 2006년 타계했다.
최은희씨는 이듬해 남편의 자서전 ‘나는 영화였다’를 펴냈고, 이어 자신의 자서전 ‘최은희의 고백’을 통해 영화인생과 납치 사건을 공개했다. 최씨는 신 감독을 먼저 떠나보낸 뒤, 건강이 극도로 쇠약해져 오랜 투병생활을 해왔다. 16일, 그는 92세 나이로 신장투석을 받으러 병원에 갔다가 숨을 거뒀다. 책에 쓰인 여배우 최은희의 인생은 ‘분단국가’ 한국의 역사가 그대로 투영된 것이었다.
조선일보 안소영 기자 입력 : 2018.04.16 22:08 | 수정 : 2018.04.16 22:40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16/2018041602446.html
..........
* (골 1:5-6) 6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 쌓아둔 소망을 인함이니 곧 너희가 전에 복음 진리의 말씀을 들은 것이라 6 이 복음이 이미 너희에게 이르매 너희가 듣고 참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깨달은 날부터 너희 중에서와 같이 또한 온 천하에서도 열매를 맺어 자라는도다.
# 하늘나라에 소망이 있어야 안심이 됩니다.
희망과 소망은 비슷한 뜻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면 지금 어떤 희망이나 소망을 가지고 있습니까? 젊은 사람은 좋은 직장이나 높은 연봉 또는 좋은 배우자 만나는 것. 나이 많은 사람은 건강하게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죽는 것, 등등 일 것입니다. 모두 필요한 일 중에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은 살아있는 동안의 일이고, 죽을 때나 그 후에는 아무 소용이 없는 것들입니다.
♥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는 반드시 죽는데 그 때를 대비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살아서 필요한 것도 챙기고, 죽음이후의 소망도 있어야 합니다.
소망이 없으면 나이 들고 마지막 때가 가까우면 불안하고 두려워 힘들어집니다.
사람은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살아야 하는 천국이 있다는 것을 몰라서 그렇습니다. ♥ 천국과 지옥은 있습니다. 천국 갈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예수님을 믿는 사람입니다. 하늘나라에 소망을 두면 땅에서도 좋은 일이 많습니다.-이박준